스마트팜 전환 2029년까지 온실의 35% 변화!

Last Updated :

스마트농업 육성 계획

농림축산식품부는 오는 2029년까지 전국의 온실을 5만 5000㏊의 35%를 스마트팜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주요 밭작물 주산지의 재배면적도 20%는 1개 이상의 스마트농업 기술을 적용하여 혁신적인 농업 환경을 조성할 예정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정부는 농산업계와 협력하여 기본계획을 세우고 농업 관련 기술과 교육을 강화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이 계획을 통해 스마트농업을 확산시키고 노동력 감소, 기후변화 등의 문제를 대응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데 힘쓸 것이다.

스마트농업 클러스터 조성

스마트농업과 관련 산업의 집적화를 위해 전역에 스마트농업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올해에는 4개 시·군에 스마트농업 육성지구를 설계하고 청년 장기 임대형 스마트팜과 연계하여 발전 가능성을 높일 것이다. 배추, 사과 등의 노지 스마트농업 시범단지와 시범지구를 교육 및 기술 실증 기능을 갖춘 거점단지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이러한 조치는 이상기후에 대응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 스마트농업 클러스터 내 교육 및 컨설팅 기능 강화
  • 기후변화 행동에 따른 스마트농업 솔루션 제공
  • 노지 스마트농업의 기술 실증 및 거점 단지 전환

스마트농업 인재 육성

스마트농업의 발전은 전문 인재 양성이 필요하다. 농식품부는 스마트농업 실습 교육 기관을 2곳에서 4곳으로 확대하고 스마트농업 관리사 자격제도를 도입하여 실질적인 경영능력을 갖춘 인재를 육성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농업인의 기술 도입 장벽을 낮추기 위해 종합자금 지원품목과 규모를 확대하고 ICT시설 및 장비 지원에 과수작물 및 수직농장을 추가하여 경쟁력을 높일 방침이다.

스마트농업 기술 개발

스마트농업의 발전을 위해 경제성을 중심으로 기술 개발을 강화하고 K-스마트팜 표준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다. 드론과 로봇 등 노지 스마트농업 기술을 고도화하고, 자율주행 농기계의 보급을 지원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또한, 스마트온실과 수직농장에 대한 연구개발과 현장 적용도 지원하여 에너지 효율성과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이루려 한다.

스마트농업 연관산업 발전

지원 항목 내용 목표
우수기업 선정 자금 및 투자유치 집중 지원 스마트농업 생태계 조성
농업회사 법인 지원 사업범위 확대 허용 업체 경쟁력 강화
데이터 산업 성장 데이터 자산 형성 및 거래 기반 조성 스마트농업 데이터 혁신

스마트농업과 관련한 데이터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정보통신기술(ICT) 기자재와 데이터 표준의 현장 적용을 촉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스마트팜의 성공적인 수출을 위한 정부 간 협력도 확대할 예정이다.

정책설명회 및 협력

농식품부는 오는 22일 대전에서 시·도 스마트농업 관계자와 주요 유관기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기본계획과 올해의 주요 추진사업에 대한 정책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보다 향상된 실행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김정욱 농식품부 정책관은 "농업은 기후변화와 인력 부족의 위기에도 불구하고 첨단기술을 통해 성장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고 강조하며, 스마트농업과 연관 산업의 동반 성장을 통해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스마트농산업을 실현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의 및 참고

스마트농업과 관련된 추가 정보는 농림축산식품부 농식품혁신정책관실 스마트농업정책과(전화: 044-201-2415)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정책 관련 모든 자료는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며, fotografien 및 저작권 관련 규정을 준수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주 묻는 숏텐츠

질문 1. 스마트농업 육성 기본계획은 무엇인가요?

답변1. 스마트농업 육성 기본계획은 농림축산식품부가 스마트농업 및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지원하기 위해 마련한 정책으로, 오는 2029년까지 스마트팜 전환 및 기술 적용 목표, 클러스터 조성, 전문 교육기관 확대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질문 2. 스마트농업 클러스터란 무엇인가요?

답변2. 스마트농업 클러스터는 스마트농업 및 관련 산업이 집적화된 지역으로, 농업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 다양한 기술과 서비스가 협력하여 발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간입니다. 이를 통해 스마트농업의 확산과 관련 산업의 수준 향상을 도모합니다.

질문 3. 농림축산식품부는 스마트농업 기술 도입을 위해 어떤 지원을 하나요?

답변3. 농림축산식품부는 스마트농업 기술 도입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제공합니다. 종합자금 지원 품목 및 규모 확장, ICT 시설 및 기자재 지원, 전문교육기관 확대, 스마트농업관리사 자격제도 도입 등을 통해 농업인의 기술 도입 장벽을 완화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팜 전환 2029년까지 온실의 35% 변화!
스마트팜 전환 2029년까지 온실의 35% 변화! | 세종진 : https://sejongzine.com/3493
2025-01-21 1 2025-01-22 4 2025-01-25 1 2025-01-26 1 2025-01-27 1 2025-01-30 1 2025-02-03 1 2025-02-05 1
인기글
세종진 © sejong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