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관서 특별경계근무로 안전한 성탄절 준비!
소방청의 특별경계근무 일정
소방청이 오는 24일부터 26일과 31일부터 내년 1월 2일까지 전국 241개 소방관서에서 특별경계근무를 실시합니다. 이번 특별근무는 성탄절과 연말연시를 맞아 화재 예방 및 재난 대응을 위한 중요한 조치입니다. 소방력 2929명과 소방차 460대가 사전 배치되어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새해맞이 산행으로 인한 사고에 대비해 산악사고 대응체계를 강화할 예정입니다.
화재 발생 현황 및 통계
최근 3년간 성탄절 특별경계근무 기간 중 발생한 화재는 총 1118건이었으며, 연평균 372.7건의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연말연시 특별경계근무 기간 동안 발생한 화재는 986건으로, 연평균 328.7건이 기록되었습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특별경계근무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수치입니다. 소방청은 이 같은 통계를 기반으로 재난 예방 대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교회와 성당 등 종교시설의 사전 점검 및 화재 예방 교육 실시
- 소방차량 진입로 확보를 위해 유관기관과 협조
- 겨울철 한랭질환자 및 응급환자의 이송 체계 강화
자체 점검 및 예방 조치
소방청은 화재 감소를 위해 다중이용시설 관계자 대상의 사전 화재 예방 안전교육을 실시합니다. 특히 연휴 기간 동안 운영이 중단되는 시설에 대한 사전 점검 및 화재 발생 요인 제거가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화재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소방차량 진입로 확보와 불법 주정차 단속은 긴급 상황 발생 시 신속한 대응에 기여합니다.
대형재난 대비 활동
소방청은 대형재난에 대비하여 현장 대응태세를 확립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교회, 성당과 같은 종교시설 및 해넘이와 해맞이 명소에 소방 펌프차와 구급차를 사전 배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방헬기를 즉시 출동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여 산악사고에 대한 대응력도 높이고 있습니다.
소방관서별 초기 대응 체계
소방관서 | 출동 대원 수 | 차량 수 |
대구소방안전본부 | 300명 | 40대 |
서울소방안전본부 | 500명 | 100대 |
부산소방안전본부 | 250명 | 35대 |
위 표는 소방관서별 출동 대원 수와 차량 수를 나타냅니다. 이러한 체계적 준비가 화재 발생 시 초기 대응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소방청은 각 지역별로 특화된 대응 체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재난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소방력 배치 및 훈련
특별경계근무 동안 소방청은 소방대원의 우선 배치를 통해 더욱 안전한 환경을 조성합니다. 허석곤 소방청장은 최근 소방대원들의 훈련 및 출동 체계를 점검하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대구 달성군의 119종합상황실과 중앙 119구조본부를 방문한 허 청장은 소방대원들이 연휴 동안 관내 화재 발화 지점을 점검하며 안전사고 예방에 힘써줄 것을 강조했습니다.
주요 안전 수칙 및 안내
국민들은 특히 겨울철 화재 위험이 증가하는 만큼 제작된 안전 수칙을 준수해야 합니다. 허 청장은 각종 화기사용 및 전열기구 취급 시 각별한 주의를 당부하며 지역 축제와 같은 다중 인파가 집중된 장소에서는 질서 있게 이동하여 안전사고 예방에 동참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국민 여러분의 협조가 화재 예방에 큰 힘이 됩니다.
문의 및 추가 정보
소방청에서는 각종 재난 상황과 관련된 문의를 받고 있습니다. 화재대응조사과(전화: 044-205-7473)로 연락하시면 보다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안전한 겨울을 보내기 위해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자주 묻는 숏텐츠
질문 1. 소방청의 특별경계근무 기간은 언제인가요?
답변1. 소방청은 오는 24일부터 26일, 그리고 31일부터 내년 1월 2일까지 특별경계근무를 실시할 예정입니다.
질문 2. 특별경계근무의 주요 목표는 무엇인가요?
답변 2. 이번 특별경계근무의 주요 목표는 국민들이 안전하게 성탄절과 연말연시를 보낼 수 있도록 화재 예방 및 대형 화재 등의 재난사고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하는 것입니다.
질문 3. 소방청은 특별경계근무 기간 중 어떤 조치를 취하나요?
답변3. 소방청은 특별경계근무 기간 동안 화재취약대상에 대한 24시간 감시체계 구축, 대형재난 대비 현장 대응태세 확립, 초기 대응체계 강화를 위해 소방 자원을 배치하고, 각종 화재 예방 안전 교육을 실시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