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상승, 연속 둔화 속 안정화 기대하는 시선

Last Updated :

물가 안정화와 관련된 정부의 노력

지난해 7월 이후 11개월만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 중반까지 떨어졌음.

  • 하반기 물가 안정화: 정부는 추가 충격이 없다면 하반기 물가는 2% 초중반대로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정부의 노력: 기획재정부는 물가 동향을 주요 품목별로 분석하고, 물가 안정을 위한 대응방안을 논의하고 있음.
  • 김병환 제1차관 발언: 김병환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물가 안정화를 위해 노력하는 정부의 입장을 밝히고 있음.
  • 농산물 관련 대책: 과일류 할당관세를 연장하고, 여름철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배추·무 등을 확보 중임.
  • 민생 물가 안정화: 정부는 업계와의 소통을 통해 식품 및 외식업계의 부담을 경감하고, 원가 하락을 소비자에 반영하려는 노력을 이어가고 있음.

6월 소비자물가 동향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2% 하락하고 전년 동월대비 2.4% 상승했다.

농산물 가공식품 개인서비스
하락 [전월비 -5.3%, 전년동월비 13.3%] 하락 [전월비 -0.2%, 전년동월비 1.2%] 안정 [전월비 0.0%, 전년동월비 2.7%]
근원물가 생활물가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
안정 [전년동월비 2.2%] 진입 [전년동월비 2.8%] 상승 [전년동월비 2.2%]

품목별 물가 동향

식료품·에너지를 제외한 물가는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품목에 따라 다양한 변동이 있음.

  • 상품: 전월비 -0.5%, 전년동월비 2.7%
  • 농축수산물: 전월비 -2%, 전년동월비 6.5%
  • 공업제품: 전월비 -0.3%, 전년동월비 2.1%
  • 전기·가스·수도: 전년동월비 0.9% 상승

관련 문의: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물가정책과(044-215-2770), 농축수산물물가대응팀(044-215-2931)

자주 묻는 질문 FAQ

질문 1.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어떻게 변화했고, 정부는 향후 물가에 대해 어떤 전망을 내놓았는가?

답변: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전년 7월(2.4%) 이후 11개월 만에 2%대 중반까지 감소했습니다. 정부는 추가 충격이 없다면 하반기 물가가 2% 초중반대로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질문 2. 김병환 기획재정부 제1차관이 물가와 관련하여 밝힌 내용은 무엇인가?

답변: 김병환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물가가 하반기에 안정화될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여름철 기후영향과 국제유가 변동성으로 인해 불확실성이 있는 상황에서도 먹거리 등 민생 물가 안정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 밝혔습니다.

질문 3.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어떤 변화가 있었으며, 품목별 동향은 어떠했는가?

답변: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2% 하락하고 전년동월대비 2.4% 상승했습니다. 특히, 신선식품지수는 하락하였으나, 생활물가는 2%대에 진입하는 등 품목별로 상이한 동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소비자물가 상승, 연속 둔화 속 안정화 기대하는 시선 | 세종진 : https://sejongzine.com/102
세종진 © sejong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