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모노이드 로봇 AI 산업 혁신의 10대 과제!
AI 산업정책위원회 제3차 회의 개요
2025년 2월 22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3차 AI 산업정책위원회에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인 안덕근씨가 주재했다. 이 회의는 한국공학한림원 전·현 회장, AI산업정책위원회 위원, 그리고 관련 기업 등 약 130명이 참석하여 진행되었다. 회의에서는 위원들이 논의한 민간 제언을 바탕으로 산업부의 AI 확산을 위한 10대 과제를 발표했다. 이러한 과제들은 AI의 접목을 통해 자율제조 분야에서의 혁신을 이루고, 우리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AI를 통한 자율제조 혁신
AI의 접목은 자율제조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산업부는 올해 말까지 60개 프로젝트를 선정할 계획이다. 이러한 민관합동 선도 프로젝트는 R&D, 디자인, 유통, 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될 예정이며, AI를 통해 공정과 제품 혁신을 꾀하는 것이 목표이다. AI 에이전트는 디지털 트윈을 통해 자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 이와 함께 피지컬 AI는 로봇 및 자율주행차 등 모빌리티 기술과 접목되어 실제 산업 현장에서 활용될 계획이다.
- AI 기반 자율 제조 프로젝트 지속 추진 예정
- R&D와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적용
- 디지털 트윈을 통한 효율적인 제조 시스템 구축
AI 컴퓨팅 인프라 구축
이번 회의에서는 AI 컴퓨팅 인프라의 확장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도 논의되었다. 업종과 지역 단위에 맞춘 AI 컴퓨팅 센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기업 수요를 반영한 다양한 AI 진입점이 마련될 것이다. 특히 비수도권에 AI 센터를 구축하여 연구장비 및 인증 설비를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산업 데이터 은행 제도를 통해 자율적인 데이터 공유를 유도하고, 산업 데이터의 가치를 극대화할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산업 데이터 스페이스 및 D-큐레이션
업체들은 탄소배출량 및 제조공정 데이터를 공유하는 산업 데이터 스페이스를 구축할 예정이다. 민간 데이터 은행 제도는 데이터의 가치를 극대화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창출할 것이다. 데이터를 가치 있는 정보로 만들어 판매하는 D-큐레이션 산업이 육성될 전망이다. 이는 기업들 간의 협력 및 데이터 활용을 촉진하여 AI의 활용을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AI 반도체 개발과 인재 양성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개발 지원 | AI 반도체 제조를 위한 기반기술 개발 | AI 분야 전문 인재 양성 |
AI 반도체는 높은 성능과 전력 효율성을 요구받고 있으며, 자동차 및 로봇에 탑재되는 혁신적인 기술로 발전할 것이다. 이를 통해 AI 활용 능력을 가진 전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강화될 예정이다. AI 사내대학원과 아카데미를 통해 재직자의 역량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전력 공급 계획과 AI 데이터센터
AI 산업의 성장은 효율적인 전력 공급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AI 컴퓨팅 설비에 필요한 전력 수요를 반영한 전력 공급 계획이 수립된다. AI 데이터센터의 전용 단지를 조성하여 산업 AI에 적합한 전력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며, 데이터센터의 냉각 기술도 개발하여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것이다.
AI 산업 투자의 활성화
산업부는 AI 산업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기금을 조성하고 있다.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털과 사내 벤처 활성화로 민간 AI 자본을 유치할 계획이다. 또한, AI 관련 해외 우수 인재 및 외국인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하기 위해 산업 AI 바우처를 지급할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지원들은 AI 혁신의 생태계를 조성하고, 해외에서의 경험을 통해 국내 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법령 및 제도 구축
AI 산업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법령과 제도의 개선이 필수적이다. 안덕근 장관은 산업디지털전환촉진법 및 산업AI활용촉진법 제정을 통해 법령 체계를 완비할 계획임을 강조했다. 또한, '기획형 규제샌드박스' 법제화를 통해 산업 AI의 민관 거버넌스와 지원 조직을 강화할 것이다. 규제 개선은 AI 산업이 자유롭게 발전하고 혁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것.
산업 정책의 진화
안덕근 장관은 "인구 감소와 기술 추격, 공급 과잉 등 대내외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성공 사례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며, AI 시대에 맞는 산업 정책의 진화를 지속 추진할 것을 다짐했다. 산업 AI 혁신 과를 신설하여 전문가 및 기업들과 긴밀히 소통하며 정책을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이와 같은 노력은 미래의 비즈니스 모델과 신산업 창출에 기여할 것이다.
AI 산업의 미래
AI 산업은 앞으로의 경제를 이끌어가는 핵심 분야로 자리 잡을 것이며, 안덕근 장관의 의지와 산업부의 정책이 결합되어 강력한 AI 생태계를 형성할 예정이다. 혁신적인 프로젝트와 AI 인프라 구축은 향후 경쟁력 있는 산업 환경을 만들어갈 것이며, 업계와 정부의 협력이 필수적. 이를 통해 많은 기업들이 AI의 혜택을 누리고, 경제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자주 묻는 숏텐츠
질문 1. 제3차 AI산업정책위원회에서는 어떤 주제가 논의되었나요?
이번 회의에서는 AI 전문가들이 논의한 민간 제언을 발표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업 AI 확산을 위한 10대 과제를 제시하였습니다.
질문 2. 산업부는 AI를 접목한 자율제조 분야에서 어떤 계획을 갖고 있나요?
산업부는 자율제조 분야의 민관합동 선도 프로젝트를 올해 말까지 60개 선정하고, 2027년까지 200개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질문 3. AI 관련 인재 양성을 위한 산업부의 계획은 무엇인가요?
산업부는 AI 인재 양성을 위해 AI 사내대학원 및 AI 아카데미 등을 주도하여 재직자의 AI 활용 능력을 배가시키고, AI 융합 전공트랙 과정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