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교과서박물관,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여행

Last Updated :
세종시 교과서박물관,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여행

세종시 교과서박물관,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여행

세종시 연동면 청연로에 위치한 교과서박물관은 어른과 아이 모두가 즐겁게 방문할 수 있는 교육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이곳은 우리 조상들이 사용했던 옛 교과서부터 현대의 교과서와 교육 자료까지 시대별 변천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특별한 박물관입니다.

박물관은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5시까지 개관하며, 매주 월요일과 주요 명절인 신정, 설 연휴, 추석 연휴, 성탄절에는 휴관합니다. 관람료는 무료이며, 넉넉한 주차 공간도 마련되어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 편리함을 제공합니다.

박물관 입구에서는 전통 놀이 도구들이 방문객을 맞이합니다. 투호, 고리 던지기, 제기차기, 팽이 돌리기, 줄넘기 등 다양한 전통 놀이를 체험하며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박물관 관람 전 몸을 풀 수 있습니다. 이러한 체험은 박물관의 딱딱한 이미지를 부드럽게 해주어 아이들의 웃음을 자아냅니다.

관람을 시작하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전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가사집인 ‘월인천강지곡’과 한글 창제 과정을 소개하는 ‘한글관’입니다. 이어서 ‘교과서 변천사’ 코너에서는 고대부터 삼국시대, 고려, 조선, 개화기, 일제강점기, 현대에 이르기까지 교과서의 변화를 시대별로 살펴볼 수 있습니다.

특히 할머니, 할아버지 세대부터 부모 세대, 그리고 현재 아이들이 사용하는 교과서를 비교하며 시대별 크기, 종이 재질, 디자인의 변화를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 교과서뿐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의 교과서도 전시되어 있어 다양한 교육 문화를 접할 수 있습니다.

북한 교과서 전시 코너에서는 북한 사회의 언어, 사회 제도, 풍습을 엿볼 수 있어 방문객들의 큰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포토존과 ‘철수와 영이의 교실’에서는 옛 교실 풍경과 손때 묻은 필통, 도시락통 등을 통해 추억을 되새길 수 있습니다.

미래 교실 코너는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스마트 교육 체험 공간으로, 아이들이 직접 다양한 학습 도구를 사용해보며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만화책도 비치되어 있어 관람 중 잠시 휴식을 취하기에도 적합합니다.

인쇄 기술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인쇄 기계 전시실에서는 194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출판사에서 사용된 실제 인쇄 기계들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활자를 조합해 인쇄용 판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인쇄술이 인류 발전에 기여한 바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2층 특별기획 전시실에서는 ‘학교 종이 땡땡땡’ 전시가 진행 중입니다. 이 전시는 195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 사용된 다양한 교육 자료와 학교 생활 용품을 주제별로 소개하며, 국민학교 시절의 추억을 생생하게 되살립니다.

또한, 1960~70년대 초등학교 교사였던 김완기 선생님의 교육 및 사진 활동을 담은 ‘정겨웠던 순간들’ 전시와 초등학교 국어 및 음악 교과서 삽화 원화를 전시하는 ‘삽화 여행, 교과서를 그리다’도 관람객들의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동무들아, 이리 와. 나하고 놀자!’ 전시관에서는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의 놀이 문화를 중심으로 연, 딱지, 제기, 공기 등 다양한 놀이 기구를 직접 체험할 수 있습니다.

관람을 마친 후에는 느린우체통 코너에서 편지를 써서 우체통에 넣는 체험도 가능합니다. 아이들과 함께 박물관 방문 후 소감을 편지로 남기는 특별한 경험이 될 것입니다.

이외에도 박물관 곳곳에는 아이들이 손글씨로 글을 쓰고 꾸밀 수 있는 공간과 삽화가가 되어 색칠을 할 수 있는 코너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입구에서 받은 활동지를 활용해 스탬프 투어를 즐기며 관람과 체험을 동시에 할 수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에게 매우 유익한 장소입니다.

세종시 교과서박물관은 교육과 추억, 체험이 어우러진 공간으로 아이들과 함께 방문해 뜻깊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에 최적의 장소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세종시 교과서박물관,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여행
세종시 교과서박물관,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여행
세종시 교과서박물관, 아이와 함께하는 시간여행 | 세종진 : https://sejongzine.com/3756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세종진 © sejong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